본문 바로가기

최종편집일 2023-09-21 16:45

  • 뉴스 > 탐방

배정옥 기자의 유럽선진재래시장 탐방[7]

광장 중심 재래시장, 정비된 도시미관 등

기사입력 2009-10-16 10:00

페이스북으로 공유 트위터로 공유 카카오 스토리로 공유 카카오톡으로 공유 문자로 공유 밴드로 공유

재래시장 활성화와 자주경영능력강화사업을 위해 신녕면 거점면소재지마을종합개발사업추진위원들이 14일부터 21일 까지 7박8일간의 일정으로 로마와 독일 프랑크푸르트의 재래시장 등 유럽선진지 견학을 다녀왔다.


영천인터넷뉴스는 이번 유럽 선진 재래시장의 농촌지역개발 및 지역특성화 성공사례 등 견학 내용을 뉴스와 동영상으로 7차례에 걸쳐 상세하게 소개한다.

 

 

<보도순서 :

1. 이탈리아 로마의 깜포 데 피오리 재래시장 2. 이탈리아 아그리뚜리즈모 아끼앨리 농가  3. 이탈리아 누오보 에스퀼리노 시장 4. 독일 슈투트가르트 민영화시장 마크트 슈투트가르트 유한책임회사 5. 독일 마크트 할레 시장, 게스트하우스 우스바흐트 농가 6. 독일 뉘른베르크 마크트암트 운트 란트빌츠샵프츠베헤르데 도매시장과 뉘른베르크 해롭스트마크트 가을시장 7. 유럽 선진재래시장 견학을 마치고.>

 


- 광장을 중심으로 발전된 재래시장


유럽은 광장문화가 발달되어 있다. 이탈리아와 독일은 고대 로마시대와 중세의 역사적인 문화유산을 그대로 유지한 채 광장을 중심으로 시장이 형성되고 발달되어 왔다.


고대시대부터 모든 도시의 중심에 발달된 광장에는 많은 사람들이 몰리면서 자연스럽게 시장이 형성되고 노천카페와 살롱 등의 광장문화를 즐기기 위해 재래시장을 선호하고 있다.


이탈리아의 캄포 데 피오리 재래시장, 로마 중앙역 테르미니에 위치한 누오보 에스퀼리노 시장, 독일의 노천카페를 끼고 있는 마크트할레, 뉘른베르크 헤릅스트마크트 가을시장 등이 이런 유형의 재래시장이다.


그리고, 유럽의 재래시장들이 도시 정비사업으로 잘 짜여진 구조물 속으로 들어가면서 재래시장이 현대화되고 서비스 시설들을 하나씩 갖추게 된다. 


우리나라도 최근 재래시장 현대화를 위해 아케이드 사업을 실시하고 있으나 유럽의 대규모 아케이드와 비교할 때 설치방법 이나 기술적인 면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특히 재래시장내을 둘러보아도 생선냄새 등 재래시장 특유의 냄새를 맡을 수 없을 정도로 청결했으며, 모든 상품에는 가격표가 부착되어 소비자가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진열되어 있다.


이렇듯 재래시장 시설 현대화는 물론 상품의 진열방법과 청결, 신선도 유지, 가격표 부착에 따른 소비자와의 신뢰성 제고와 시장별로 특징적인 이미지를 확보하고 경쟁력을 갖춰 차별화된 운영 방법을 마련해야 한다.


유럽 재래시장의 또 하나의 큰 특징은 조합단위의 농축산물 유통구조와 조합별 브랜드이다. 


조합은 자체 브랜드를 개발해 생산자는 생산에만 전념하여 질 좋은 제품을 생산하고 조합은 생산자의 농축산물에 대한 홍보와 마케팅, 유통까지 모든 책임을 진다.


생산자와 조합간의 유기적인 유통구조와 신뢰성 있는 브랜드로 인하여 재래시장에서도 소비자들은 질 좋고 저렴한 제품을 믿고 구매할 수 있게 된다.



-유럽 도시의 정비된 도시미관



이탈리아와 독일을 둘러보면 공통된 것이 점포 마다 규격화된 소형간판이 부착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탈리아 로마는 도시 전체가 문화유산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기 때문에 상점에 간판을 부착하기 위해서는 허가를 받아야 하며 규격에 따른 세금을 납부해야 한다.


독일 역시 상점간판에 대한 규제를 받고 있다. 세금을 내지는 않더라도 규격이나 색깔 등에 대한 규제를 받고 있다.


우리나라처럼 규격도 제각각인데다 형형색색의 간판들이 난무하는 어지러운 거리에 비하면 이탈리아나 독일은 깔끔하게 정제된 도시 이미지를 선보이고 있다.


또 하나 눈에 띄는 것은 이탈리아의 가로등이다.


이탈리아 로마는 도시 보호를 위해 길가에 기둥을 세우지 않고 건물과 건물을 줄로 연결해 도로위에 가로등을 설치해 전력소모도 줄이고 도시 미관을 고려한 조경형태이다.


이 나라는 전신주를 세우지 않았다. 모든 전신주는 땅속으로 묻어 어지럽고 복잡한 도로가 아닌 깨끗한 도시 미관을 조성했다.


이렇듯 유럽 도시의 잘 정돈된 간판, 가로등, 아케이드 사업 등 깨끗한 도시 이미지와 광장중심 재래시장의 위생․청결적인면과 가격표시제, 신선한 제품, 공동 브랜드 등은 신녕권역 재래시장 뿐만아니라 영천시, 더 나아가 우리나라에서 현 실정에 맞게 도입한다면 재래시장 활성화는 문제없을 것 같다.

 

 

 

 

<온라인미디어 세상- 영천인터넷뉴스가 항상 앞서갑니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기사제보 ycinews@nate.com

  ☎ 054-331-6029, <한국지역인터넷언론협회 영천인터넷뉴스

ycinews 배정옥 기자 (ycinews@nate.com)

  • 등록된 관련기사가 없습니다.

댓글6

0/500
  • 박재봉
    2010- 07- 01 삭제

    배정옥기자님 유럽여행님 기사 잘 보고 갑니다...

  • 마음은 집시
    2009- 10- 17 삭제

    배국장 그동안 시리즈로 연재 한다고 고생 했어요

  • 애독자
    2009- 10- 16 삭제

    이 기사를 참고로 해서 재래시장이 더욱 개선돼 많은 소비자들에게 사랑받을 수 있었으면 합니다.

  • 애독자
    2009- 10- 16 삭제

    그동안의 연재 잘 봤습니다. 우리나라 재래시장의 문제점과 개선점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유익한 정보였습니다.

  • 이경희
    2009- 10- 16 삭제

    제 눈으로 봐도 확연히 다른 것 같아요. 정말 좋은 점만 좀 도입했으면 좋겠어요, 아시겠죠

  • 영천
    2009- 10- 16 삭제

    유럽 기사 정말 잘 봤습니다. 그동안 좋은 정보 감사해요..